리버싱 이것저것
Pwndbg 사용방법 정리
0. readelf (이건 리눅스 명령어) ELF구조로 이루어진 파일 정보를 보여줌 윈도우의 PE View나 CFF Explorer와 비슷 1. start명령어 0번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 Entry point address (0x401040)와 화살표의 주소와 같다. 나는 처음 start를 입력했을때 바로 main함수로 가버려서 확인한 ep에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서 직접 확인했다. 화면에서 영역마다 나타내고 있는 것이 무엇이냐면, 주요 메모리들의 상태를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맥락(Context)이라고 부르며 registers: 레지스터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disasm: rip부터 여러 줄에 걸쳐 디스어셈블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stack: rsp부터 여러 줄에 걸쳐 스택의 값들을 보여줍니다. ba..
2022. 5. 23. 17:51
최근댓글